어깨 관절염의 원인으로는 퇴행성, 골절이나 탈구 등외상의 합병증, 류마티스, 진행된 회전근개 파열, 골괴사 등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주로 젊은 층에서는 외상, 류마토이드 관절염, 수술 등에 의해 2차적으로 50대 이후에는 퇴행성으로 생기게 됩니다.
어깨 관절염의 대표적 증상은 활동에 의해 심해지는 통증입니다. 또한 어깨관절 운동의 제한을 보이기도 하는데, 어깨를 들어 올리거나 돌리는 운동의 법위가 감소하게 됩니다. 움직일 때 딱딱 걸리는 마찰을 느낄 수 있습니다.
동통과 운동제한을 가진 환제에서 엑스레이 소견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에서는 관절 간격이 줄어들고 골극이라는 비정상 뼈 만들어져 있으며 관절면이 불규칙하고 딱딱하게 경화된 특징을 보입니다. CT를 통해 관절면 변형 및 관절와 골결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도 합니다.